- 정신건강상담전화1577-0199
- 자살예방상담전화109
- 송파구정신건강복지센터SNS
- 아동·청소년 우울장애
-
- 우울장애는 의욕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·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합니다.
- 아동·청소년 우울장애는 성인에 비해 인지, 사고, 감정 발달이 미숙하여 성인의 전형적인 우울한 감정보다는 다른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가면성 우울증이라고도 합니다.
- 특히 청소년기에는 기분변화에 따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하기 쉬우므로 자살위험성이나 집단행동 등에 대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.
증상
- 초등학생
-
- 짜증스러운 기분
- 신체증상, 불안감 호소
- 등교거부, 대인관계 회피
- 집중력 저하, 과잉행동
- 자살사고
- 중·고등학생
-
- 짜증, 잦은 분노 표출
- 흥미상실, 자신감 저하
- 신체증상, 불안감 호소
- 학교 성적 저하, 대인관계 위축
- 식욕, 수면욕의 증가 혹은 감소
- 적대적, 반항적 행동
- 결석, 폭력, 절도, 가출, 약물남용, 게임중독
- 자살사고, 자살시도
원인
- 유전적 요인
-
- 우울증 또는 다른 기분 장애 가족력이 있는 경우 우울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음
- 생물학적 요인
-
-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(세로토닌, 노르에피네프린, 도파민 등)
- 뇌 구조의 기능장애
- 호르몬 이상
- 사회환경적 요인
-
- 스트레스 요인이 되는 부정적 생활 사건들
- 가족의 사망, 심각한 질병, 가정불화, 학업이나 업무의 부진과 실패, 인간관계의 악화, 따돌림, 실직이나 사업실패, 경제적 곤란, 사회적 지지의 부족이나 결핍 등
- 심리적 요인
-
- 사회기술 부족, 낮은 자존감
- 이상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 간의 괴리
- 긍정적 강화의 상실과 결핍
- 기타
-
- 암, 내분비계 질환, 뇌졸중 등 다양한 신체적 질환
-
치료
약물치료
- 약물치료는 우울장애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방법이며, 우울증의 정도와 기간을 감소시킴
- 항우울제 : 뇌신경에 작용하여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교정
- 항불안제 : 우울증과 동반되는 수면장애, 불안장애 치료를 위해 우울증 급성기 치료에 주로 사용
인지행동치료
- 자신과 주변 사람들, 주변 환경이나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찾아내어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합리적·생산적인 생각으로 바꾸어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치료방법
대인관계훈련
- 대인관계의 문제를 해결해주고 주위 사람들과 잘 지내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.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사회기술훈련, 대화기술훈련 등
참고 및 출처
- 국가정신건강포털 http://www.mentalhealth.go.kr
-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://health.kdca.go.kr/
- 경기도정신건강복지센터 https://www.mentalhealth.or.kr
- 대한정신건강재단 http://www.mind44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