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정신건강상담전화1577-0199
- 자살예방상담전화109
- 송파구정신건강복지센터SNS
- 노인성 우울증
-
- 우울증은 노년기에 가장 흔한 정신과 질환의 하나입니다.
- 그러나 노인에서의 우울증은 우울감을 적게 호소하고 신체증상과 인지 기능저하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다른 질병으로 오인될 수 있습니다.
증상
- 전형적
-
- 우울, 슬픔, 눈물, 공허함 또는 절망감
- 흥미 또는 즐거움 상실
- 식욕저하
- 무 가치감, 죄책감
- 자살사고, 계획, 시도
- 비전형적
-
- 수면장애
- 불안, 초조
- 신체증상의 호소(소화불량, 복통, 두통, 관절 통증)
- 생각, 집중, 판단의 어려움
- 우울성 가성 치매
원인
- 사회심리학적 요인
-
- 노년기에 찾아오는 질병과 장애로 인한 건강의 상실
- 퇴직 이후 재정적 대비의 부족으로 인한 경제적 능력 상실
- 배우자나 친지와의 사별, 가족과의 분리 등으로 인한 대인관계의 상실
- 생물학적 요인
-
- 세로토닌과 같이 감정 조절에 작용하는 신경전달 물질의 저하
- 감정을 조절하는 뇌 회로 부위의 모세혈관 이상
-
치료
약물치료
- 약물치료는 우울장애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방법이며, 우울증의 정도와 기간을 감소시킴
- 항우울제 : 뇌신경에 작용하여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교정
- 항불안제 : 우울증과 동반되는 수면장애, 불안장애 치료를 위해 우울증 급성기 치료에 주로 사용
인지행동치료
- 자신과 주변 사람들, 주변 환경이나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찾아내어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합리적·생산적인 생각으로 바꾸어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치료방법
대인관계훈련
- 대인관계의 문제를 해결해주고 주위 사람들과 잘 지내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.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사회기술훈련, 대화기술훈련 등
참고 및 출처
-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://health.kdca.go.kr
-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iN https://www.nhis.or.kr